지구(支溝) – 장이 건조해서 생기는 변비의 윤활제

지구혈은 매우 패기로운 이름인 “비호”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어떻게 이렇게 불리울까요? 우리는 먼저 옛사람들의 취혈방법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동신촌(同身寸: 혈의 위치를 정할때 길이를 정하는 방식으로 몸의 특정부위를 기준으로 합니다)에 대해 들어보셨을겁니다. 그러나 “비”나 “호” 이 두글자로 계산하는 것은 아주 낯섭니다. 옛사람들은 손을 이용해서 물건의 갯수를 세었습니다.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하나로 모으고 엄지를 펴서 중지의 끝에 갖다대는것을 ‘일호'(호구)라고 했습니다. 중지를 구부린뒤 식지를 펴서 중지를 식지끝에 갖다대는것을 ‘일호’라고 했습니다. 지구혈은 손목관절에서 위로 3촌위에 있습니다. 양지혈에서 바로 ‘일호’만큼 떨어진 곳에 있어서 비호라는 명칭이 붙었습니다.

그런데 왜 비호대신에 지구라는 이름으로 부를까요? 그것은 지구혈을 형상에 비유해서 그렇습니다. 지는 “지(肢)”로 이곳이 상지 즉 팔에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구(溝)는 도랑을 의미합니다. 도랑은 모두가 알다시피 물이 흐르는 좁은 통로를 말합니다. 지구혈은 팔의 측골과 요골사이에 위치해 있어 마치 팔의 도랑과 같은 모양이라 지구라고 부릅니다.

지구혈과 천추혈은 똑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변비를 치료하는데 좋은 혈자리라는 것입니다. 지구혈은 삼초경락의 화(火)혈자리로 삼초의 화를 빼줘서 장이 말라 생기는 변비를 예방합니다. 지구혈은 팔위에 있어 눌러주기가 쉽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천추와 지구혈 양혈자리를 함께 안마해주시면 효과가 더 좋습니다. 이렇게 눌러주면 비위의 운화기능을 촉진해서 삼초의 기혈운행이 순조로워져 우리몸의 은밀한 질환인 변비를 해결해줍니다.



“지구(支溝) – 장이 건조해서 생기는 변비의 윤활제” 에 하나의 답글

  1. […] : 승산, 대릉, 양구, 상구, 구허 계곡구독 : 후계, 양계, 합곡, 함곡, 수구, 지구, 사독, 중독 해양지천 : 소해, 소해, 척택, 곡택, 양지, 곡천, 용천, 경거, […]

    좋아요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