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우리가 중풍에 걸린것을 “풍 맞았다” “바람들었다”라는 식으로 많이 표현을 합니다. 중의에서도 바람이 백병의 으뜸이라고 합니다. 바람이 우리몸에 병을 일으키기가 아주 쉽습니다. 바람이 글자안에는 충(蟲)이라는 글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충에는 요즘 현대에서 말하는 병균이나 세균과 같은 것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풍은 음양중에서 양에 속하는 나쁜기운입니다. 또 바람의 성질은 변화무상하다는데 있습니다. 또 이 바람은 한기와 같은 다른 나쁜기운과 잘 결합해서 우리들을 괴롭힙니다.
이 나쁜기운을 품은 바람이 일으키는 질병중 첫번째가 가려움증입니다. 이 바람이 들어오면 우리몸에서 제일먼저 반응하는 곳이 피부입니다. 이 가려움증은 어디 한곳일수도 또 옮겨다니기도 합니다. 그래서 과민체질의 사람이나 몸이 약한 사람들은 바람이 몸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옷을 잘 챙겨 입어야 합니다. 이렇게 참을 수 없도록 가려울때는 곡지와 혈해혈자리 이 두곳을 자극해 주면 가려움증이 호전됩니다.
두번째로 바람이 일으키는 질병은 바로 감기입니다. 몸이 튼튼한 사람이라도 일년에 한번정도는 감기를 피하기 어렵습니다. 감기로 열이나면 병원에 가서 해열제 주사를 맞거나 약을 먹어 이 열을 내립니다. 중의는 이런식으로 치료하지 않습니다. 중의에서 감기의 분류는 아주 상세하게 이루어져 있습니다. 중의에서는 감기를 다음과 같이 나눠서 치료하고 있습니다.
1) 풍한감기
이 감기에 걸리면 콧물이나 가래가 맑거나 백색의 포말이면서 맥박은 느리고 긴박하면서 깊지가 않습니다. 오한과 추위를 느낍니다. 이럴때는 마황이나 계지같은 땀을 내면서 열을 내리는 약제를 사용합니다. 생강끓인물을 마시면 이 풍한감기에는 좋지만 다른감기에는 효과가 없거나 역효과를 낼수도 있습니다.
2) 풍열감기
콧물이 황색이고 목안의 편도체에 열이나고 염증이 납니다. 맥박은 정상에 비해 빨라집니다. 찬물 마시기를 좋아하는 증세를 보입니다. 이 감기에는 은교산이라는 약이 사용됩니다.
3) 위장감기
특별히 여름철에 많이 보이는 감기의 일종입니다. 이감기는 곽향정기산을 먹으면 낫습니다. 이 위장형감기는 음식과 비가 많이 내리는 더운 여름날씨와 상관이 많습니다.
4) 기허감기
우리몸이 약해져서 기본적인 면역체계가 그 역할을 잘 발휘하지 못할때 생기는 감기입니다. 특히 노인들에게서 잘 나타나는 감기의 형태입니다. 이때는 옥병풍산이 처방됩니다.
세번째로 바람의 나쁜기운이 일으키는 질병은 바로 발열입니다. 발열은 감기에 동반되어 나타나는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감기로 인한 발열에는 대추혈자리를 안마해 주시면 좋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