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사(寒邪)를 예방하는 방법

한(寒)이라는 글자를 보면 추위에 몸을 떨던 기억이 생각납니다. 한사(寒邪)가 우리에게 주는 제일 첫번째 느낌은 춥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겨울이 와서 한기가 우리몸으로 침입하면 우리는 모두 추운계절이 온것을 알게됩니다. 겨울철은 이 한사(寒邪)가 설치는 계절이라 겨울철의 질병은 다음과 같은 몇가지 특징을 가집니다.

첫번째는 한(寒)은 음사(陰邪)입니다. 이 한사가 우리몸에 들어오면 음기가 세어져서 음양의 불균형이 생깁니다. 병은 음양의 불균형에서 오게됩니다. 치료를 할때는 음에 반대되는 열로서 양기를 복돋워 음양의 평형을 만듭니다.

겨울은 한사(寒邪)가 주재하는 계절이라 겨울철에 생기는 질병은 반드시 한(寒)과 관련이 있습니다. 나이드신분들의 다리가 안좋아지거나, 관절통, 류마티스관절염등이 모두 겨울에 생겨나기 쉽습니다. 이것은 찬기운이 뭉치고 기가 모여서 기혈이 통하지 못해 생긴병입니다.

그래서 이때에는 찬기운과 반대되는 양으로 음양을 조정합니다. 양기운이 들어 있는 약(원양약, 원리약을 사용합니다. 특히 부자나 육계같은 양기운이 쎈약)을 먹어 우리몸의 한사(寒邪)를 몰아냅니다. 다른방법으로 물리요법이 있습니다. 관절에 찬기운이 들거나 아플때는 옷을 따뜻하게 입거나 관절을 보호하고 보온하는 띠를 두르거나 뜨거운 물주머니를 사용해서 찜질해 주는것은 대개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따뜻한 열로써 한사(寒邪) 몰아내 우리몸에 음양조화를 가져오게 합니다.

두번째 한사(寒邪)의 특징은 모여서 엉겨서 나쁜것들을 흡수합니다. 겨울에 기온이 내려가 수은주가 영하로 내려가면 물이 얼어서 얼음이 됩니다. 그래서 옛사람들은 한(寒)이 액체를 고체로 만들어 체적을 줄여주는것 이것을 모여서 엉긴다(응체凝滯)고 했습니다. 응(凝)이라는 한자에는 왼쪽에 두개의 획으로된 수가 있고, 체(滯)에는 3개의 획으로 된 수가 있어 물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과 우리의 생명현상은 뗄래야 뗄수 없을 정도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우리몸에서도 물이 70%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우리몸에 물이 부족하거나 물의 온도가 너무 낮거나 또는 너무 높으면 우리몸은 비정상적인 상태에 놓이게됩니다. 한자중에 체(涕),루(淚),한(汗)이라는 글자역시 편방에 삼획으로 된 수를 가지고 있어 물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중성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냉(冷), 한(寒),량(凉)의 편방부수는 모두 2획으로된 수라 이 글자들은 자주 차가움과 관련이 있으며 물의 온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훈(熏),초(焦),증(烝),열(熱),렬(烈)등은 4획으로 된 수를 가지고 있는데 4획으로 된 부수는 수라고 했지만 원래는 화(火)인데 뒤에 수라고 변화되었습니다. 이들글자는 모두 뜨거운 감각을 표현하는 글자들로 온도가 높음을 의미합니다.

우리몸도 이와 같습니다. 2획으로 된 물과 4획으로된 물의 온도 변화를 왔다 갔다 하면서 결국은 3획으로 된 중성(음양평형)에 머물게 됩니다.

이런설명을 들으면 응(凝)이 물이 아주 차거워지고 온도가 낮아져 액체상태에서 고체상태로 변한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응체(凝滯)는 얼음과 같습니다. 아주 단단하고 더이상 물처럼 흐를수 없는 상태입니다. 나이가 좀 드신 분들은 겨울철이 되고 날씨가 추워지면 팔다리가 마음대로 잘 움직이지 않는 것을 경험할 것입니다. 물이 얼음으로 변한것처럼 우리옴이 단단해지고 활력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응체(凝滯)는 우리몸에서 관절의 움직임을 불편하게 하고 또 겨울철에 노인들의 피를 검사해보면 혈액이 맑지않아 혈류가 느리는데 이것또한 한의 특징입니다. 물이 변해 얼음이 되는것처럼 액체상태가 고체상태로 변하면서 흐름이 느려지게 됩니다.

겨울철에는 냇가의 물들이 흐름을 늦추고 심지어는 응고 되는것처럼 우리몸의 혈관도 한사의 영향을 받게되면 흐름이 늦어집니다. 특히 노인분들에게는 치명적인 질병인 뇌경색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우리 대뇌의 혈관내의 혈액이 정상적인 흐름을 보일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혈류속도가 늦어지고 또 한사를 만나게 되면 혈관이 수축되고 혈관내에 찌꺼기가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부위가 생기게됩니다. 혈관은 원래 깨끗하고 탄성을 가지고 있지만 오랫동안 잘못된 식습관(고기, 고염식, 음주)이 쌓이게 되면 동맥경화로 발전되어 혈관이 노화되고 탄성이 없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뇌경색을 비롯 많은 병들은 계절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뇌경색은 가을에서 겨울로 계절이 바뀌는 시기에 많이 발생하는데 이것은 기의 흐름과 기온의 변화가 커기 때문입니다. 갑자기 찬기운을 받으면 모세혈관이 수축돼 혈압이 올라가고 뇌혈관이 이에 반응해 경련이 생기고 뇌경색이 쉽게 생깁니다.

가을 겨울철에는 기후가 건조해서 우리몸은 많은 수분을 소모해서 몸에 물이 부족한 상태에 놓이게 됩니다. 이렇게 수분이 감소되면 혈액의 점도가 높아져 혈류가 느려져서 혈액용량이 부족해서 뇌중풍이 생깁니다. 그래서 노인분들을 비롯해 뇌혈관질병을 가지고 있는 분들은 가을 겨울에 기후가 급격하게 변할때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뇌경색이 오기전에 우리몸에서는 징조가 나타납니다. 즉 우리몸에서 최후의 사인을 보내는거지요. 이 사인만 제때 알아채면 뇌경색으로 위험한 시기를 맞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손가락이 저리거나 혀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게 되는것이 중요한 징조입니다. 혀의 움직임에 문제가 생기면 말을 제대로 할 수 없어 의사표현을 마음대로 할 수 없습니다. 새끼손가락과 네번째손가락이 마비되어 굳게됩니다. 집에 노인을 모시는 분들은 이런점을 미리 알아 겨울철에 한사로 인해 손가락과 혀가 마비되면 바로 병원으로 모시고 가야합니다. 또 노인분들은 이런 현상이 생기면 지체없이 가족에게 연락해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혈관을 따뜻하게 해주는 다음의 혈자리를 평소에 자주 안마해 주시면 한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태계

용천

관원

기해

신유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