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에서 꿈꾸는 것을 혼백이 날아다니는 것이라고 봅니다. 우리몸의 오장에는 무두 신명神明이 있습니다. 혼과 백은 어느장기의 신명일까요? 혼魂은 간의 신명이고, 백魄은 폐의 신명입니다.
우리가 잠을 잘때는 각 시간대에 따라 각기 다른 경맥이 그 움직임을 주관합니다. 밤11시부터 담경이 수면시작에 관여하고, 새벽1시부터 3시까지는 간혼이 주관하고, 새벽3시에서 5시까지는 폐신이 주관합니다. 그래서 꿈은 이 시간대에 꾸게 되는데 혼백이 수렴되어 한곳에 머물지 못하는 형상입니다. 간혼은 이지적인것과 관련이 있고, 폐백은 본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새벽3시를 전후한 꿈은 간혼과 관련되어 이성과 상관이 있습니다. 3시이후의 꿈은 폐백과 관련이 있는데 인간의 본능과 상관이 있습니다.
서양에서도 꿈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습니다. 특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꿈의 문제를 아주 중요하게 다룹니다. 꿈은 잠재의식의 심리적 곡절과 상징의 표현방식이라고 인식합니다. 프로이트는 죽음에 대한 본능과 성에 대한 본능 이 두가지를 기본적 본능으로 파악합니다. 꿈의 분석도 이 두가지 프레임으로 분석이 이루어집니다.
중의에서의 꿈에 대한 인식은 프로이트와는 아주 다름니다. 프로이트는 꿈에서 물을 보면 출생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중의에서는 꿈에 물을 보는 것은 사람의 음기가 지나쳐서 생기는 것으로 공포감을 반영한다고 보았습니다. 우리몸의 장기중 신이 공포를 주관하고 오행에서 신은 물에 속합니다. 그래서 꿈에 물을 보거나 공포스러운 꿈은 모두 음기가 지나쳐서 생긴다고 보았습니다.
《황제내경》 “음사발몽편”에서 옛날 사람들이 꿈에 대해 가졌던 각종 이해를 기술하고 있습니다. 우리몸안에 음양의 기가 성할때 꿈에서 서로 죽입니다. 폐기가 아주 실할때는 꿈속에서 금속병기로 서로 죽입니다. 폐는 오행중에 금에 속합니다. 기가 특히 지나치면 꿈에 날아다니는것을 보게됩니다. 자주 날아다니는 꿈을 꾸는 사람은 그 성격을 보면 완벽주의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배가 고플때 꿈을 꾸면 다른 사람이 나에게 물건을 주는 꿈을, 배가 부를때 꿈을 꾸면 다른사람에게 물건을 주는꿈을 꿉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