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맥상특징
근골에 닿을때까지 세게 눌렀을때 느낌이 온다. 복맥의 맥위치는 근골내에 있으며 세게 눌러도 느낄수 없으며 근골에 닿아야 진단이 가능하다.
2. 주병증
사폐邪閉, 궐증厥証, 통증痛証
3. 맥리설명
몸안에 사기가 누적되어 활발하게되면 이 사기가 기혈의 원활한 운행을 막기가 쉬워진다. 이때 맥기는 통할데가 없게되며 맥이 맥관내에 깊이 숨게된다.
만약 오랜병으로 정기가 쇠해지고 양기가 약해서 끊어지면 양기가 혈맥을 따라 움직일 수 없어 복맥이 나타난다.
4. 맥상감별
복맥과 침맥은 비슷하다.
복맥은 침맥에 비해 그 위치가 더 아래로 내려가 근골내에 이른다. 세게 눌러도 느낄수 없으며 반드시 근골에 까지 이르러야 느낄수 있다.
5. 주병설명
사폐邪閉, 궐증厥証, 통증痛証 : 실한 사기운이 안으로 잠복해 있다. 기폐, 한폐,열폐, 화폐, 통극, 적취, 류음, 곽란토사등에서 복맥이 보인다.
양기가 쇠할때 : 심양쇠약, 양기가 끊어질때 신혼궐역이 나타나며 역시 이때에도 복맥이 나타난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