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비행기추락사고는 소규모라도 큰 파장을 초래한다. 전면기사로 등장할 뿐 아니라, 철저한 수사가 뒤따르며 사고를 계기로 중요한 교훈이 얻어질 때가 많다. 조종사와 항공사들이 더 안전하게 직무를 수행하는 법을 배우게 되는 것이다.
미국의료계는 항공계보다 훨씬 높은 치사율을 보인다. 매주 의료과실로 숨지는 희생자로 대형여객기 4대를 채울 수 있을 정도이다. 그럼에도 이러한 사고는 알려지지 않을 때가 많으며 의료계가 교훈을 얻는 사례도 드물다. 예방가능한 실수가 계속 반복될 뿐 아니라, 어떤 병원이 다른 병원에 비해 우수한(또는 열등한) 안전기록을 보유하고 있는지도 환자에게 알려지지 않는다.
의사로서 우리는 해를 끼치지 않겠다는 선서를 하지만, 일선에서는 동료의사의 실수를 묵인해야 한다는 무언의 규칙을 따른다. 대대적인 문제가 초래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미국외과의가 엉뚱한 부위를 수술하는 사례는 주당 최대 40회에 이르며, 의료과실 피해를 입는 입원환자의 비율은 약 1/4에 육박한다. 의료과실을 질환으로 분류한다면 의료과실은 미국인 사망원인 5위인 사고사와 7위인 알츠하이머병 사이에서 6위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인명손실만 있는 것도 아니다. 의료과실 때문에 미국의료시스템은 매년 수백억 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다. 의학전문가들의 자체 조사에 따르면 약과 검사, 수술의 20~30%가 불필요한데도 처방되고 행해진다고 한다. 이토록 자주 실수를 저지르는 업계가 또 있을까?
by MARTY MAKARY(매커리 박사는 존스홉킨스병원 외과의이며 세계보건기구가 채택한 수술체크리스트의 저자이다. 이번 달 ‘Unaccountable: What Hospitals Won’t Tell You and How Transparency Can Revolutionize Health Care’를 출간했다.) via wsj(월스트리트저널)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