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3번째로 큰 땅덩이를 가지고 있고, 또 세계에서 제일 많은 인구를 가진 중국. 그들은 많은 인구만큼이나 많은 문화적 차이를 가지고, 서로 다른 언어를 구사하며 살아가고 있다. 지리적으로 보면 한랭대, 아열대, 열대우림, 고산지대, 사막지대 등등, 문화적으로 보면 중원의 문화를 비롯하여 불교문화, 아랍문화, 인도문화 등등 큰 땅덩이만큼 많은 것을 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에는 56개의 민족이 모여 살아가는 나라다.
다수 민족인 한족을 제외한 55개의 민족을 소수민족이라 한다. 이들 소수민족은 대부분이 중국의 변강지역에 살고 있고, 또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지키며 살아가고 있다.
중국의 소수민족은 비록 인구가 전국의 8.04%에 불과하지만, 분포지구가 상당히 넓어서 전국 총면적의 63.7%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5개의 소수민족 자치구 외에도 대부분의 성, 시에도 소수민족 자치주, 자치현(縣)이 있다. 소수민족이 가장 많은 성으로는 윈난(雲南)성으로 그곳에는 35개의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이외에도 네이멍구(內蒙古), 신장(新疆), 티베트, 광시(廣西) , 닝샤(寧夏)지역 및 헤이룽장(黑龍江), 지린(吉林), 라오닝(遼寧), 간쑤(甘肅), 칭하이(靑海), 쓰촨(四川), 윈난(雲南), 구이쩌우(貴州), 광둥(廣東), 후난(湖南), 후베이(湖北) 등의 성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중국 소수 민족 인구 현황(1997년 말) 민 족 분 포 인 구(명)
壯族(zhuang) 광서, 운남, 광동 15,555,820
滿族(man) 요녕, 하북, 흑룡강, 길림, 내몽고, 북경 9,846,776
回族(hui) 영하, 감숙, 하남, 신강, 청해, 운남, 하북, 산동, 안휘, 요녕, 북경, 내몽고, 천진, 흑룡강, 섬서, 귀주, 길림, 강소, 사천 8,612,001
苗族(miao) 귀주, 호남, 운남, 광서, 중경, 호북, 사천 7,383,622
維吾爾族(uygur) 신강 7,207,024
彛族(yi) 운남, 사천, 귀주 6,578,524
土家族(tujia) 호남, 호북, 중경, 귀주 5,725,049
蒙古族(mongolian) 내몽고, 요녕, 길림, 하북, 흑룡강, 신강 4,802,407
藏族(tibetan) 서장, 사천, 청해, 감숙, 운남 4,593,072
布依族(bouyei) 귀주 2,548,294
동족(dong) 귀주, 호남, 광서 2,508,624
瑤族(yao) 광서, 호남, 운남, 광동 2,137,033
朝鮮族(korean) 길림, 흑룡강, 요녕 1,923,361
白族(bai) 운남, 귀주, 호남 1,598,052
哈尼族(hani) 운남 1,254,800
黎族(li) 해남 1,112,498
哈薩克族(kazak) 신강 1,110,758
태족(dai) 운남 1,025,402
여족(she) 복건, 절강, 강서, 광동 634,700
율속족(lisu) 운남, 사천 574,589
흘료족(gelao) 귀주 438,191
拉祜族(lahu) 운남 411,545
東鄕族(dongxiang) 감숙, 신강 373,669
와족(va) 운남 351,980
水族(shui) 귀주, 광서 347,116
納西族(naxi) 운남 277,750
羌族(qiang) 사천 198,303
土族(tu) 청해, 감숙 192,568
錫伯族(xibe) 요녕, 신강 172,932
마료族(mulao) 광서 160,648
柯爾克孜族(kirgiz)) 신강 143,537
達幹爾族(daur) 내몽고, 흑룡강 121,463
景頗族(jingpo) 운남 119,276
撒拉族(salar) 청해 87,546
布郞族(blang) 운남 82,398
毛南族(maonan) 광서 72,370
塔吉克族(tajik) 신강 33,223
普米族(primi) 운남 29,721
阿昌族(achang) 운남 27,718
怒族(nu) 운남 27,190
鄂溫克族(ewenki) 내몽고 26,379
京族(jing) 광서 18,749
基諾族(jino) 운남 18,022
德昻族(deang) 운남 15,461
烏孜別克族(uzbek) 신강 14,763
俄羅斯族(russian) 신강, 흑룡강 13,500
裕固族(yugur) 감숙 12,993
保安族(baoan) 감숙 11,683
門巴族(monba) 서장 7,498
鄂倫春族(oroqen) 흑룡강, 내몽고 7,004
獨龍族(derung) 운남 5,825
塔塔爾族(tatar) 신강 5,064
赫哲族(hezhen) 흑룡강 4,254
高山族(gaoshan) 대만, 복건 2,877
珞巴族(lhoba) 서장 2,322
總計 90,567,944 출처: 國家統計局, {中國統計年監}, (北京: 中國統計出版社, 1998).
사실 55개의 소수민족이란 것이 억지스러운 부분이 있는데, 이는 중국정부에 의한 편리성에 근거하여 정해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사실 두메산골에 사는 소수민족은 자신이 어느 민족에 분류되었는지 모르고 사는 사람들도 많고, 또 원래 자신은 어느 민족 이었는데 정부에 의해 강제적으로 옆에 민족에 강제 편입되는 일들도 비일비재 하다고 합니다.
최근 중국의 셰샤오둥(謝小東) 교수가 소수민족의 유전자를 분석하고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오래 전부터 한족은 중원(中原)에 살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는 어느 한 시기에 한족을 주변 국가 또는 민족과 구별하기 위해 지역적으로 획정한 것일 뿐”이라고 합니다. 중국 역사에 나타나는 중원의 범위는 산시(山西) 성 남부와 장쑤(江蘇) 성 서부 및 안후이(安徽) 성 서북부를 포함한 허난(河南) 성 일대, 따라서 이 지역에 사는 사람이 바로 중원 사람이라고 생각돼 왔지만 이 역시 사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전자 분석결과에 의하면 “순수한 한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오랜 기간에 걸쳐 주변의 소수민족이나 주변 국가가 한족과 융합한 결과”라고 합니다. 사실 현재도 소수민족이 한족화 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 대표적인 것이 한족과의 결혼으로 이루어 집니다. 한족과 타 민족이 결혼을 하고, 2세가 태어나면 부모가 어느족(族)으로 등록을 할지 결정을 할 수 있는데, 현 중국의 실정에 한족이 여러모로 유리하기 때문에 대다수 한족을 선택한다는 겁니다. 과거에 혼란한 시기에는 인구 조사할 때 자신의 민족을 버리고 한족으로 위장 등록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하니 한족의 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과거에는 소수민족은 한족에게는 지배의 대상이었지만, 현재는 많은 소수민족들을 포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은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각 소수민족에 관한 연구를 많이 진행하고 있는데, 이를 지원하기 위해 각 지역에 민족관련 대학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필자가 공부한 북경에 있는 중앙민족대학교는 각 지역의 민족들 중 최고의 두뇌들을 북경으로 불러와 이들을 공부시킨 후 다시 각 지역으로 보내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데, 덕분에 중앙민족대학은 중국 56개 민족의 집합체라 할 수 있습니다.
교수들은 물론 학생구성원들이 각 지역에서 올라온 소수민족들이 많아, 교내를 돌아다니다 보면 무수한 민족들은 만날 수 있습니다. 중국은 땅이 워낙 넓어서 사람을 만나면 고향이 어딘지가 주 관심사 입니다. 하지만 민족대 에서는 학생을 만나면 먼저 물어보는 것이 어느 족 인가를 먼저 묻습니다. 외양부터 다른 위그르족 같은 경우는 굳이 묻지 않지만 어느 지역 출신인가와 어느 족인지가 관심 대상입니다. 그러다 보니 한족들 같은 경우 우스개 소리로 자신을 수이요 (水又) 족 이라고 소개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한족의 漢을 간체자로 汉이라 쓰는데 물수 변 에 또우 를 풀어서 수이요 (水又) 족이라 하는 겁니다.
한가지 에피소드를 더 하자면 어느 외국 유학생이 무용과 학생들을 보고 저들은 어느 족인지를 물었습니다. 무용과 학생들을 보면 거의가 인물도 좋고, 키도 크며, 작고 동그란 머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이 소수민족에 대한 지원과 연구를 강화하기 시작하면서, 중국의 소수민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고, 세상에 많이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먼저 그들의 역사, 문화, 종교, 교육 등 인문학 적인 접근이 이루어 졌고, 근래에는 소수민족의 전통의학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필자가 공부한 ‘중국소수민족전통의학연구원’ 도 소수민족의 전통의학의 연구를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된 연구원입니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소수민족전통의학은 중의학에 종속 되어 왔으나 최근 독립된 의학으로 분리되어 나왔습니다.
중국은 전통의학의 범주를 중의학, 민족의학, 민간의학 세가지로 분류됩니다. 중의학은 우리가 아는 한의학과 같은 것으로 한(漢)문화를 배경으로 계승, 발전한 주류 의학이며 중국전통의학의 대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민족의학은 중국소수민족의 전통의학으로서 한족을 제외한 55개의 각 소수민족이 살아오면서 역사를 통해 창조하고, 생활 중 실천하며 경험한 풍부한 지혜의 산물인 의학사상입니다. 민간의학은 중의학에도, 소수민족전통의학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의학적 이론이 없는 의료 경험이며, 양생습관적인 단방 (單方) 위주의 의술 입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