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大學 전문 제10장 ‘치국,평천하’를 해석하다 1

경문에서 천하를 태평하게 하려면 먼저 자기의 국가를 잘 다스려야 한다고 말했다.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늙은이를 존경하면 민간에서는 효도하는 풍습이 일어나며,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연장자를 존중하면 민간에서는 연장자를 공경하는 풍습이 일어나며,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고아들을 보살피면 백성들은 이러한 뜻을 따라 공덕을 배반하지 않을것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사람간의 협조와 평형을 이루는 것을 재는 자의 도라고 하는 것이다.

윗자리에 있는 사람이 자기가 싫어하는 행위를 가지고 아래사람에게 똑같이 대해서는 안된다. 아래사람이 자기가 싫어하는 행위를 가지고  윗사람에게 똑같이 대해서는 안된다. 선배는  자기가 싫어하는 행위를 가지고 후배에게 똑같이 대해서는 안된다. 후배는 자기가 싫어하는 행위를 가지고 선배에게 똑같이 대해서는 안된다. 오른쪽에 있는 사람이 자기가 싫어하는 행위를 가지고 왼쪽의 사람에게 똑같이 대해서는 안된다. 왼쪽에 있는 사람이 자기가 싫어하는 행위를 가지고 오른쪽의 사람에게 똑같이 대해서는 안된다. 이것을 일러 사람간의 협조와 평형을 이루는 것을 재는 자의 도라고 하는 것이다.

《시경 소아 남산유대》편에서 말했다. “화합하고 선하고 즐거운 군자는 백성의 부모로다” 이것은 백성이 좋아하는 것을 그가 좋아하고, 백성이 싫어하는 것을 그가 싫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군자를 백성의 부모라고 한다.

《시경 소아 절남산》편에서 말했다. “저 험준한 남산이여! 산에 바위가 우뚝 솟았구나. 이름이 더높은 태사 윤씨여! 백성들이 모두 너를 높이 바라본다” 이것은 국가를 통치하고자하는 사람은 근신하지 않을 수 없고, 만약 도덕규범에서 떠나거나 치우친다면 천하의 사람들이 그를 뒤집어 엎어 버릴것이다.

《시경 대아 문왕》편에서 말했다. “은조가 민심을 잃지 않은 시기에 상제에 대해 배향하는 자격이 충분했다. (뒤에 민심을 잃자 주무왕이 뒤집었다) 후세의 군왕은 마땅히 이것을 교훈으로 삼아 천명을 쉽지않게 진중하게 해야한다”  통치자는 백성을 얻었을때만 능히 국가의 정권을 보호하고 지킬 수 있다. 만약 백성의 지지를 잃는다면 국가의 정권도 잃을것이다. 그러므로 국군은 먼저 진중하게 자기의 인품과 덕을 수양해야 한다.

덕행이 잘 구비되면 백성의 지지를 얻을 수 있고, 백성의 지지를 받아야만 광활한 국토를 차지할 수 있고, 광활한 국토를 차지해야 충분한 재와 부를 가질수 있으며, 재와 부가 충족해야 국가의 용도에 맞게 공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덕이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이다. 재와 부는 나라를 다스리는 말단이다. 표면적으로 도덕을 중시하는 척하고 내심으로는 재물을 중하게 여기면 백성이 서로 다투고 이익을 두고 싸우게 된다. 그러므로 만약 재물을 나라창고에 쌓아 두더라도 민심은 흩어지고 떠난다. 만약 재물을 백성에게 나눠주면 민심이 모아진다. 만약 군주가 민심을 위배해서 명령을 시행하고자 하면 민심 역시 군주의 마음과는 멀어진다. 만약 군주가 민심을 위배하면서 재와 부를 모은다면 백성은 군주의 마음을 위배하는 방식으로 재와 부를 잃게 만들것이다.

《상서 강고》편에서 말했다. “천명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선을 행하고 덕을 쌓으면 천명에 도달할 수 있고, 선을 행하지 않고 덕을 쌓지 않으면 천명을 잃어버리는 것을 말한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