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학설은 옛날 사람들이 자연현상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함으로 도출해낸 것으로 자연현상을 해석하는 일종의 사유방법이다. 옛사람들은 만물만상에 모두에 정과 반의 속성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속성은 대립적이면서 통일적인것으로 일체만물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것으로 이로부터 음양학설이 만들어졌다. 음과 양 이 두개의 명사로 일체 만물에 존재하는 대립 통일적인 관계를 대신했다. 즉 천(하늘)은 양, 땅은 음 ; 해는 양, 달은 음; 낮은 양, 밤은 음; 불은 양, 물은 음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이 서로 반하고 서로 합쳐져서 대립 통일적인 원리로 우주의 일체사물의 변화를 해석했다. 중의에서는 음양학설을 사용하여 의학의 기본문제를 설명하며 또 이것들로 부터 중의이론의 사상체계를 만들어 왔다. 그것은 중의학중의 생리, 병리, 진단, 치료와 약물등의 각방면을 관통하고 있으며 객관적이고 실제적인 의료방법을 구성하며 중의의 임상실천에 지도원리로 살아있다.
생리방면 : 중의는 인체의 생리 역시 음양학설로 설명할 수 있다고 인식한다. 일반적로 양의 성질은 동(움직임)에 속하고, 음의 성질은 정에 속한다고 말한다. 양은 우리 체표의 보호하는 능력이고, 음은 내부의 정기작용을 보호하고 지킨다. 그러므로 생리적으로 양은 몸바깥의 피부와 털, 근육, 근골등을 대표하고, 음은 체내의 장부를 대표한다. 또한 오장의 정기를 저장하는 것은 음, 육부의 소화시키고 배출시키는 기능은 음으로 보았다. 위치로 나누어 상초는 양, 하초는 음으로 보았다. 외측은 양, 내측은 음으로 보았다. 어떠한 부분이라도 모두 음양의 속성이 존재하며 이것으로서 생리의 특수한 성질과 공능을 설명했다.
병리방면 : 병이 발생하는 부위와 성질에 따라 표증은 양에 속하고 리증은 음에 속하고, 열증은 양, 한증음 음에 속한다고 구별했다. 일반적으로 기능쇠약은 양의 부족으로 물질의 손실은 음의 부족으로 파악했다. 이러한 사고에 따라 일반증상을 4개의 유형-양허, 음허, 양성, 음성-으로 나누었다. 양허의 외면은 한의 현상으로, 음허의 내면은 열의 현상을 가르킨다. 반대로 양성의 외면은 열, 음성의 내면은 한의 현상이다. 양성의 증상은 발열, 입이 마르고, 호흡이 정상적이지 않고, 가슴이 답답하며, 음성의 증상은 춥고, 사지가 차고, 떨린다. 어떨때는 음허의 맥상이 삭맥과 미친것과 비슷한 열증이 보이기도 한다. 양허 역시 배가 불러오는것과 같이 한증과 비슷함을 보이기도 한다. 일체의 항진성, 흥분성, 열이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양증에 속하고, 쇠약 침잠등 한성을 보이는 것은 음증에 속한다. 외과에 적용시키면 홍종 발열은 양증, 열이 나지 않고 하얗게 보이는 것은 음증에 속하는 것이다.
진단 : 맥진으로 말하자면 크게 6가지로 나눌수 있다. 맥박수로 지맥과 삭맥, 체상으로 부맥과 침맥, 움직임으로 활맥과 삽맥으로 나눈다. 삭, 부, 활맥은 양에 속하고, 지, 침, 삽맥은 음에 속한다. 음맥은 많은 경우 음증에 발견되며, 양맥은 양증에서 발견된다. 설진으로 말하자면 설질의 변화는 혈액의 병변에 속하는 색이 붉은것은 양에 속하고, 색이 담담하고 청색인것은 혈허 혈한으로 음에 속한다. 설태의 변화는 위장의 병변을 나타내는데 마르고 노란것은 양에 속하고, 촉촉하고 흰것은 음에 속한다. 그래서 <내경>에서 “진단하고자 하는 자는 색과 맥을 살피고 음양을 구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치료 : 표증에는 땀을 내게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리증에는 몸속의 것을 바깥으로 빼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한증에는 따뜻하게 하는 방법을, 열증에 차게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것에는 모두 음양의 의의가 포함되어 있다. 양이 승하면 음병이고, 음이 승하면 양병이다. 양이 승하면 열이나고 음이 승하면 차게된다. 추운것이 거듭되면 열이나는 현상이 생기고, 한이 거듭되면 열이 나는 현상이 생긴다. 그래서 <내경>에서 “양병은 음으로 치료하고, 음병은 양으로 치료한다. 음으로 부터 양을 끌어들이고, 양으로 부터 음을 끌어 들인다”는 대법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약방면 : 중약의 약성은 큰게 기와 미로 나눈다. 기는 양, 미는 음이다. 기는 또 4가지 종류로 나누는데 차고 냉한것은 음, 따듯하고 열이나는 것은 양에 속한다. 미는 5가지 종류로 나누는데 맵고 단것은 양, 시고 쓰고 짠것은 음에 속한다. 부자, 육괘 마른생강등은 맵고 열을 내는 맛이 있어 양약에 속하는데 열을 올리고 발산한다. 황련, 은화, 용담초등은 쓰고 찬성질을 가지고 있어 음약에 속하는데 내리고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