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학설 – 오행(五行)

중의는 음양학설로 인체내부의 대립 통일을 설명하는것 이외에도 오행학설로 인체내부의 연계를 설명한다.

오행은 즉 목, 화, 토, 금, 수 이 다섯개의 관계로 중요한 것은 이들 다섯관계의 ‘상생’과 ‘상극’ 관계이다.

상생은 서로가 도와주는 관계다. 오행중의 상생관계는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이다. 오행중의 상생관계에서는 오행중의 어느 하나가 나를 낳거나, 내가 낳거나 하는 상생의 관계에 있다. 목을 예로들면 나를 낳은 것은 수이고, 내가 낳은 것은 화이다. 여기서 모자관계를 빌려와서 수는 목의 어머니이고, 화는 목의 자녀로 본다. 나머지 다른것도 이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상극은 서로 제약하거나 극복하는 관계이다. 오행중의 상극관계는 금극목, 목극토, 토극수, 수극화, 화극금 이다. 오행의 상극관계에서는 오행중의 어느하나가 나를 극복하거나, 내가 극복하거나 하는 상극의 관계에 있다. 역시 목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나를 극복하는 것은 금이가 내가 극복하는 것은 토이다. 금은 목을 이기지 못하고, 토는 목을 이긴다.

오행의 상생 상극 이 두가지는 서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서로 사용하고 있다. 생중에서도 극이 있고, 극중에서도 생이 있다. 이렇게 서로 이용하는것을 일러 ‘제화’관계라고 한다. 목은 토를 극하고, 토는 금을 낳고, 금은 목을 극한다.

이런 제화관계는 평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조건이다. 만약 생만있고 극이 없다면 성한 것은 더욱 성하게 될것이다. 극만 있고 생이 없다면 약한 것은 더욱 약하게 될것이다.

생하고 극하는 중에 하나의 반대현상이 나타나는데 즉 내가 극하면서 반대로 나를 극하는 것이 있으며 나를 극하면서도 반대로 내가 극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수는 본래 화를 극하나 어떤 상황하에서는 화가 역시 수를 극할때가 있는데 이를 일러 ‘상모’관계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상생, 상극, 상모는 일정한 조건 즉 본래 기가 충실하면 생하고, 그렇지 않으면 생할수가 없다.

오행이 중의학에서 운용될때는 오행의 속성을 중요하게 본다. 자연계와 인체조직은 일정한 상황하에서 귀납하여 도출되거나 동시에 상생 상극의 관계로 장부간의 상호관계를 설명한다. 자연계에서는 방위로 볼때 동, 남, 중, 서, 북. 계절로는 봄, 여름, 긴여름, 가을, 겨울. 기후로는 바람, 더위, 습, 조, 한. 자라나는 과정으로는 생, 장, 화, 수, 장. 색깔로는 청, 적, 황, 백, 흑. 맛으로는 시고, 쓰고, 달고, 맵고, 짠것들로 이것들은 오행의 목, 화, 토, 금, 수에 각각 속한다.

인체에서는 간, 심, 비, 폐, 신이 중심으로 이와 연계하여 눈, 혀, 입, 코, 귀. 근, 맥, 육, 피모,골등의 오체와 분노, 기쁨, 생각, 우울, 공포등의 오지가 각각 목, 화, 토, 금, 수에 속한다.

중의에서의 오행학설과 음양학설은 같은것으로 중의임상업무에서 지도원리로 작동한다. 예를 들면 목의 성질이 지나치게 발양되어 있으면 간기역시 이에 응해서 지나치게 발양되어 병이되는데 이때는 간기를 다스려 치료한다. 목은 토를 능히 극하면 간병은 비를 범하게 되는데 범하기 전에 마땅히 예방해야 한다. 이미 비병이 나타났다면 간의 기를 소통시켜 비를 건강하게 해야한다. 수는 목을 능히 생하므로 간허의 병증이 있으면 신을 보양하는 방법으로 간을 편하게 해야한다. 금은 목을 능히 극하므로 간이 왕성한 병증에는 좌금평간법을 사용해야한다. 이런것들은 모두 오행의 상생 상극에 따른 치료법이다. 중의에서는 우리몸 내부의 장기들이 독립해서 존재한다고 보지않고 서로 밀접한 연계를 중시한다. 그래서 A장기에 병이 생겼을때는 A장기뿐만 아니라 B와 C장기를 함께 치료한다.

오행과 인체장부의 연계성에 대해 설명하면 목은 간에 속하면 내열로 인해 눈이 붉어지거나 시력이 나빠질때는 청간법을 많이 사용한다. 근육과 살은 비에 속하는데 형체가 마르거나 쇠약할때는 보비법을 사용한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