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학설 – 경락(經絡)

경락학설 역시 중의이론체계중 중요한 구성부분이다. “황제내경”에서 “경맥은 죽고 사는 것을 결정함으로 병에 걸리면 허실을 조절하여 막힘이 없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또 “십이경맥은 사람이 살고, 병이 생기고, 사람을 치료하고, 병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배우는 시작과 끝이다” 고 말함으로 경락의 중요성에 대해 밝혀 놓았다. 의학을 배우는 자는 반드시 공부해야 할 하나의 과정이다. 경락과 음양, 오행학설은 같다. 중의의 생리, 병리, 진단, 치료, 약물등 각부분에서 함께 중요한 작용을 한다.

경락에서 경은 가로, 락은 세로를 지칭하여 전신을 망라하여 연결되어 있다. 경락의 작용은 안으로는 장부에 바깥으로는 형체와 기혈의 운행, 음양의 운영, 근골의 부드러움, 관절의 이로움에 이르기까지 다 관련이 있다. 우리몸의 경락중 중요한 것은 12경맥으로 이를 나누면 6개의 양경과 6개의 음경으로 이루어져서 서로 연결됭 장부, 머리와 사지를 순행한다. 12경맥과는 별도로 경은 음경과 양경간의 표리관계로 구별할 수 있다. 기경팔맥은 십이경맥을 조절한다. 경맥은 기혈 운행의 필수적인 통로로서 인체내외, 상하, 좌우, 전후는 물론 오장, 육부, 머리부, 몸, 사지, 구교등 인체각부분을 포괄하는 유기체적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 경락은 서로 연결되어 음에서 양으로, 양에서 음으로, 안에서 바깥으로, 바깥에서 안으로,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기혈이 운행하며 순환이 멈추지 않는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