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論語

  • 제1장 학이3

    공자가 말씀하시길 “교묘하고 꾸미는 말과 거짓이 얼굴에 드러나는 사람은 인덕이 아주 없는 사람이다” Continue reading

  • 제1장 학이(學而) 2

    자하가 말했다. “현자를 공경함을 여자를 좋아하는 마음처럼 바꾸고 부모를 봉양함에 마음을 다하고 군자와 윗사람을 대함에 성명을 다하고, 친구를 사귐에 성신이 있다면 이러한 사람은 배운 경력이 없다고 하더라도 나는 반드시 그의 배움이 족하다고 말할 것이다.” 공자가 말했다. “군자가 만약 무게가 없으면 위엄이 없어서 배워도 견고할 수 없다. 사람이 충성과 믿음을 위주로 하고 자기보다 못한 사람을 사귀지… Continue reading

  • 제1장 학이(學而)

    공자가 말했다. “배우는 중에 때때로 복습하면 기쁘지 아니한가? 벗이 있어 먼곳으로부터 찾아오니 즐겁지 아니한가? 다른 사람들이 나를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내가 화내지 아니하면 군자가 아닌가? 공자가 말했다. “사람이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와 연장자를 경애하면서 윗자리에 있는 사람을 범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아주 드물다. 군자는 근본을 힘써 행하여서 근본을 확립하여 도를 만들어 낸다. 효제가 인도의 근본이니라!” Continue reading

  • 페이스북에서 옮겨온 글

    지난주에 시간이 좀 나서 목요일마다 열리는 논어토론모임에 참석했습니다. 진즉 알았다면 처음부터 참석하면서 논어번역을 블로그에 올렸을텐데… 지난주에는 논어17편 양화편을 읽었는데 제일 마지막 구절이 다음과 같았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십세가 되었는데도 남으로부터 미움을 받는다면 그 인생은 더 이상 기대할게 없는 끝장난 인생이다” 공자시대의 사십이야 사회보건환경상 도달하기 그리 쉬운 나이는 아니겠지만 요즘으로 치면 나이들어 손가락질 받는 인생들을 하도 많이…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