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입문
-
기본학설 – 예방
예방의 목적은 질병의 소멸을 통해 건강을 보장하는데 있다. ‘내경’에는 일찌기 “성인은 병이 발생되기전에 미리 치료한다. 병이 나타난뒤 약을 쓰는것은 가뭄이 심하자 우물을 뚫는것과 같고 전투전에 미리 병사를 준비하지 않으면 이미 늦어버린 것이다. ‘내경’의 이러한 예방사상의 지도로 개인위생과 공공위생의 지식이 쌓여왔다. ‘천금방’등의 서적에도 이미 이러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현재까지 중의예장의 기본정신으로 중시되고 있는것이다. 첫째로 옛날사람들은 질병의… Continue reading
-
기본학설 – 경락(經絡)
경락학설 역시 중의이론체계중 중요한 구성부분이다. “황제내경”에서 “경맥은 죽고 사는 것을 결정함으로 병에 걸리면 허실을 조절하여 막힘이 없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또 “십이경맥은 사람이 살고, 병이 생기고, 사람을 치료하고, 병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배우는 시작과 끝이다” 고 말함으로 경락의 중요성에 대해 밝혀 놓았다. 의학을 배우는 자는 반드시 공부해야 할 하나의 과정이다. 경락과 음양, 오행학설은 같다. 중의의 생리, 병리,… Continue reading
-
기본학설 – 오행(五行)
중의는 음양학설로 인체내부의 대립 통일을 설명것 이외에도 오행학설로 인체내부의 연계를 설명한다. 오행은 즉 목, 화, 토, 금, 수 이 다섯개의 관계로 중요한 것은 이들 다섯관계의 ‘상생’과 ‘상극’ 관계이다. 상생은 서로가 도와주는 관계다. 오행중의 상생관계는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이다. 오행중의 상생관계에서는 오행중의 어느 하나가 나를 낳거나, 내가 낳거나 하는 상생의 관계에 있다. 목을 예로들면… Continue reading
-
기본학설 – 음과 양(陰陽)
음양학설은 옛날 사람들이 자연현상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함으로 도출해낸 것으로 자연현상을 해석하는 일종의 사유방법이다. 옛사람들은 만물만상에 모두에 정과 반의 속성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속성은 대립적이면서 통일적인것으로 일체만물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것으로 이로부터 음양학설이 만들어졌다. 음과 양 이 두개의 명사로 일체 만물에 존재하는 대립 통일적인 관계를 대신했다. 즉 천(하늘)은 양, 땅은 음 ; 해는 양, 달은 음; 낮은… Continue reading
-
중의의 특징 – 변증론치辨證論治
변증론치 변증론치는 중의에서 보편적으로 응용되는 하나의 진료규율이다. 병증을 인식해서 치료에 이르는 전과정에 걸쳐 변증론치에 의거해서 치료가 완성된다. 변증론치는 리理 법法 방方 약藥을 기초로 종합한것으로 이러한 기초를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 그것은 이론과 법칙이면서 이론과 실천이 결합한것이다. 변증론치의 의의는 변은 분석, 감별한다는 증은 증거, 본질이라는, 론은 토론, 생각을, 치는 치료의 방침을 뜻한다. 증과 치는 현실적이고 변과… Continue reading
-
중의의 특징 – 정체관념(整體觀念)
정체관념 중의로 병을 치료한다는 것은 그 시작점이 인체를 통일적으로 보는 안목에서 시작한다. 우선 인체내장과 몸밖의 각 조직기관간의 관계는 결코 분리될 수가 없다. 동시에 환경변화가 인체생리와 병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인체내부의 통일성과 함께 인체와 외부환경의 통일성이 모두 중요하다. 그러므로 임상에 임해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고려해야 한다. 병의 국부변화뿐만 아니라 계절, 기후와 토양 그리고 환자의 정서와 생활습관등을… Continue reading
- 01. 수태음폐경
- 02. 수양명대장경
- 03. 족양명위경
- 04. 족태음비경
- 05. 수소음심경
- 06. 수태양소장경
- 07. 족태양방광경
- 08. 족소음신경
- 09. 수궐음심포경
- 10. 수소양삼초경
- 11. 족소양담경
- 12. 족궐음간경
- 12시진 건강법
- 13. 독맥
- 14. 임맥
- 논어論語
- 대학大學
- 디지털
- 마인드리셋(mind reset)
- 맛집
- 맥진脈診
- 건강하게 사는법
- 베이징이야기
- 본초문답
- 부맥류
- 삭맥류
- 설진舌診
- 세상읽기
- 소수민족
- 실맥류
- 어린이를 위한 혈자리
- 허맥류
- 혈자리 이야기
- 황제내경
- 중약
- 중용中庸
- 중의기초이론
- 중의학
- 중의입문
- 지맥류
- 차(茶)이야기
- 청영양혈清营凉血
- 체질학
- 침맥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