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맥沈脈

1. 맥상특징
가볍게 손을 대었을때는 느낌이 없으나 세게 누르면 맥을 느낄수 있다. 침맥은 위쪽이나 중간쪽의 위치에서는 명확하지가 않고, 오로지 근골가까이까지 세게 눌렀을때 박동을 느낄수 있다.

2. 주병증
리증裏証. 침맥에 힘이있으면 리실, 침맥에 힘이 없으면 리허.

3. 맥리설명
1)리실증 : 병사가 안으로 들어왔을때 환자의 기혈이 충실하고 성하면 능히 병사에 대응할 수 있어 정사가 서로 싸운다. 이럴때 맥상은 가라앉으면서 힘이 있다.
2)리허증 : 환자의 기혈이 손상을 받아 허해지면 기혈이 우리몸으로 전달하는 힘이 약해진다. 이때 맥상은 가라앉으며 힘이 없다.

4. 맥상감별
침맥은 복맥, 뇌맥, 약맥과 유사하다.
1)침맥의 위치는 근골근처며 세게 눌러보면 알 수 있다
2)복맥은 침맥에 비해 맥의 위치가 더 깊어 근골내에 있으며 세게 눌러도 알기가 힘들며 근골까지 눌러서 기다리면 맥상을 알아낼 수 있다.
3)뇌맥과 침맥은 유사하다. 맥형은 활시위처럼 팽팽하다. 맥상은 근골위에서 느껴진다.
4)약맥은 약하고 부드러우면서도 힘이 없다.

5. 주병설명
주리증.
리실(가라앉으면서 힘이 있을때) : 담식, 기울, 한사적체, 하리, 적열, 구토, 수종등
리허(가라앉으면서 힘이 없을때) : 양기가 쇠약하고 약해질때.

6. 겸맥주병
침지 : 리한
침삭 : 리열
침완 : 수습
침삽 : 기울
침활 : 담식 습열
침현 : 내통
침긴 : 냉통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