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민족은 예로 부터 예(禮)를 중시한 민족이었습니다. 그래서 예가 아니면 듣지 않고, 예가 아니면 보지말라고 했습니다. ‘예기’에서 “예의의 시작은 용모와 몸을 바르게 하는데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것은 무슨의미일까요? 예의의 가장 기본은 옷을 가지런히 입는것입니다. 옛사람들은 문밖으로 나설때 모자를 반드시 착용하고 나갔습니다. 만약 모자가 똑바르지 않으면 예의에 맞지않는 것으로 여겼습니다.
천용(天容)은 기품이 범상치 않은 하늘의 용모입니다. 천용혈자리는 목의 바깥부분과 하합각 뒤쪽의 동맥이 만져지는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투구나 모자를 쓸때 끈이 지나가는 곳입니다. 얼굴의 용모를 바르게 하고 목을 보호하는 작용을 해준다는 의미에서 그 이름을 천용이라고 했습니다.
천용혈의 작용은 그 이름과 연상해서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떤 직업이 예의와 용모를 중시하는지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두개의 직업이 바로 천용혈의 작용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습니다. 이 두개의 직업군은 바로 교사와 성악가(가수)입니다. 교사는 한점의 의문도 없이 예의용모를 중시합니다. 대중앞에 서서 노래를 부르는 성악가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두개의 직업은 목을 많이 사용하고 그래서 목을 항상 보호하고 조심해야 합니다. 가을이나 겨울에는 기후가 건조합니다. 이런 계절에는 목의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납니다. 당연히 이 두개의 직업을 가진분 이외에도 담배를 피우거나 감기 초기에는 목이 건조해져서 목이 불편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때에는 천용을 안만해 주십시오. 매일 이 혈자리를 3~5분정도 안마하면 목이 아픈 증상이 완화됩니다.
더우기 매일 교단에서 분필을 들이마셔야 하는 선생님들에게는 이 혈자리를 더 많이 안마해 주십시오. 가을 겨울철에는 뽕잎,맥문동,반대해나무,국화,개여주열매로 차를 끓여 드시면 좋습니다. 이 차는 목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해서 목소리가 거칠어 지는것도 막아줍니다.
답글 남기기